728x90
SMALL
1. 글을 작성하게 된 계기
K8s에서 마스터노드와 워커노드를 구축하다가
추후 서버가 새로 구입되면서 기존에 쿠버네틱스에
워커노드를 추가하기 위해서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.
2. 노드 추가 방법
1. 마스터노드인 control-plane에서 새로운 워커 노드가 클러스터에 조인할 수 있도록 토큰 생성
kubeadm token create --print-join-command
# kubeadm join 192.168.1.100:6443 --token abcdef.1234567890abcdef \
# --discovery-token-ca-cert-hash sha256: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
2. 새로운 노드에서 1번에서 나온 클러스터를 조인함
- 새로운 노드가 NotReady 인 경우
containerd가 켜져 있지만 k8s와 연결이 안 되어있을 가능성이 큼
sudo systemctl status containerd # 실행중인 상태인지 먼저 확인
sudo systemctl restart containerd # 실행중이지 않으면 재시작
sudo systemctl status containerd # 재확인
sudo systemctl restart kubelet # kubelet도 재시작
sudo crictl info # json이 잘나오는지 확인, 나오면 containerd는 설정문제 없음
728x90
LIST
'Come on IT > DevO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pf_jit 증가에 따른 seccomp 오류 해결 방법 (error loading seccomp filter) (0) | 2025.01.04 |
---|---|
K8s namespace가 deleted 안될 때 (feat. monitoring) (0) | 2024.10.14 |
Prometheus 및 Grafana 설치 (feat. 쿠베네티스) (1) | 2024.10.07 |
worker node에서 명령어 실행이 안될 때 해결방법 (0) | 2024.10.06 |
쿠버네티스 GPU 연결 방법 (feat. gpu-operater) (3) | 2024.10.06 |